시행 순서가 미소공동위원회 설치 -> 임정 수립 -> 조선 임정 구성 원조 방안 수립 (신탁통치) 순인가요미소공동위원회 설치 -> 조선 임정 구성 원조 방안 수립 (신탁통치) -> 임정 수립순선가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1945년 12월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장관이
소련 모스크바에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한반도 등 식민지 지역의 처리
문제를 논의한 회의로, 한국에서는 신탁통치 결정으로 유명합니다.
주요 결정 내용
한국에 관한 조항
한반도의 독립국가 수립을 위해 임시 민주정부를 설립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해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미·영·소·중 4개국이 최대 5년간 신탁통치를 실시하며, 공동위원회는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민주적 정당·사회단체와 협의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신탁통치는 독립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5년 이내 한시적 조건이었습니다.
국내 반응과 좌우 대립
신탁통치 결정이 국내에 알려지자 민족주의 세력은 자주권 부정이라며
반탁운동을 벌였고, 좌익은 초기 반대에서 점차 찬성으로 돌아섰습니다.
언론의 오보(소련이 신탁통치, 미국이 즉시 독립 주장)로 인해 반탁운동이
더욱 거세졌고, 좌우 대립이 심화되어 남북분단의 단초가 되었습니다.
회의 참석자
미국의 제임스 번즈, 영국의 어니스트 베빈, 소련의 뱌체슬라프 몰로토프가
참석했습니다.
이 회의는 한반도에 임시정부 수립과 신탁통치라는 큰 틀의 결정을 내렸으나,
국내에서는 신탁통치 논란이 커지며 좌우 대립이 격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잘 읽어 보면 위의것이 답입니다